8년 만에 3쿠션 당구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개인통산 두 번째 우승과 한국의 9번째 당구월드컵 우승을 달성했다.
6월 16일 자정에 튀르키예에서 열린 '앙카라 3쿠션 당구월드컵' 결승전에서 허정한은 '3쿠션 세계챔피언' 바오프엉빈(베트남·세계 4위)을 26이닝 만에 50:31로 완파하고 값진 우승컵을 품에 안았다.
![]() |
8년만에 당구월드컵에서 우승한 허정환 선수 |
허정한은 당구월드컵 3회 연속우승에 도전하며 아시아 최강 타이틀을 위협한 베트남의 질풍을 잠재우며 한국의 '5전 6기' 우승을 일궜다.
그동안 튀르키예는 한국 선수들이 가장 크게 활약했던 국가였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 선수들은 튀르키예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보였다.
한국의 3쿠션 당구월드컵 9회 우승 중 이번까지 가장 많은 3회를 튀르키예에서 우승했고, 결승에만 총 6차례나 진출했다.
한국의 첫 우승의 쾌거도 튀르키예에서 달성했다. 지난 2010년에 한국은 고 김경률이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한국 선수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2012년에는 최성원(PBA)이 안탈리아에서 역대 두 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2014년 이스탄불에서는 조재호(PBA)와 최성원이 결승전을 치러 조재호가 한국의 통산 4번째 우승을 성공했다.
허정환 선수 2016년 우승 후 8년만에 우승
이번 대회를 우승한 허정한은 지난 2016년 이집트 엘구나에서 처음 결승에 올라가 '사대천왕' 딕 야스퍼스(네덜란드·세계 3위)를 꺾고 첫 우승을 달성했다.2021년에는 네덜란드 베겔에서 두 번째 결승에 진출, 다니엘 산체스(PBA)에게 아쉽게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이후 15번의 대회에서 모두 입상하지 못하며 긴 잠에 빠졌던 허정한은 이번 앙카라 당구월드컵 32강 조별리그전에서는 베르카이 카라쿠르트(튀르키예·세계 18위)와 조명우(실크로드시앤티-서울시청·6위), 서창훈(시흥체육회·33위)을 꺾으며 16강에 진출했다.
16강부터는 현 세계 최강자인 야스퍼스와 쩐뀌엣찌엔, 마틴 호른(독일·세계 5위)을 차례로 제압하고 통산 세 번째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
세계 최강자들을 제압하고 결승에 올라온 허정한은 지난해 3쿠션 세계선수권을 우승한 바오프엉빈마저 누르며 한 경기도 패하지 않고 7전 전승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결승전에서 4:11로 뒤진 5이닝에 7득점 적시타를 올린 허정한은 6:19로 끌려가던 중 4-1-5 연속타를 터트리며 전반을 26:19(16이닝)로 역전한 채 마쳤다.
![]() |
2022년 우승한 조명우 선수 |
한국 선수로는 2022년 이후 8번째만에 우승 달성
한국은 지난 2022년 12월에 조명우가 이집트 대회에서 우승한 이후 8차례 열린 대회에서 5번이나 결승에 올라갔으나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그 사이에 베트남은 3번을 우승하며 한국의 자리를 위협했다. 이번 대회에 앞서 열린 호찌민 당구월드컵에서는 심지어 무명의 쩐득민(베트남)이 '세계 1위'로 올라섰던 김준태(경북체육회)를 꺾고 우승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그러나 그간 한국 선수들의 활약이 컸던 이번 튀르키예 대회에서는 허정한이 베트남의 최정상 선수들을 모두 제압하며 우승을 차지해 한국 당구의 자존심을 지켰다.
허정한은 지난 2016년 이집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21년에 네덜란드 베겔에서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3년여 만에 세 번째 결승을 밞은 허정한은 '베트남 질풍'을 제압하며 값진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 결과로 세계랭킹에 변화가 생겨 종전 1위였던 김준태가 2위로 내려오고, 베트남 선수 최초로 쩐뀌엣찌엔이 1위로 올라가게 됐다.
또한, 준우승자 바오프엉빈이 랭킹점수 54점을 획득하면서 8위에서 4위로 상승, 사상 처음 5위 안에 2명의 베트남 선수가 진입하게 됐다.
우승자 허정한은 15위에서 12위로 세 계단을 올라섰고, 조명우는 4위에서 6위, 김행직은 10위에서 11위로 낮아졌다.
한편, 3쿠션 당구월드컵 다음 4번째 대회는 오는 7월 7일부터 13일까지 포르투갈 포르토에서 개최된다.
역대 한국 선수 당구월드컵 우승 기록
고 김경률 선수가 한국 선수로는 최초로 월드컵 대회에서 우승한 이후 총 9차례의 한국 선수 우승 기록이 있다.
다음은 월드컵 우승 기록이다.
- 김경률 2010 터키월드컵 (준우승 : 딕 야스퍼스)
- 최성원 2012 터키월드컵 (준우승 : 타즈데미르 타이픈)
- 강동궁 2013 한국 구리 월드컵 (준우승 : 다니엘 산체스)
- 조재호 2014 튀르키예 이스탄불 월드컵 (준우승 : 최성원)
- 허정환 2016 이집트 엘구나 월드컵 (준우승 : 딕 야스퍼스)
- 김행직 2017 포루투갈 포루트 월드컵 (준우승 : 응우옌 꾸옥 응우옌)
- 김행직 2017 한국 청주직지 월드컵 (준우승 : 무랏 나시 초클루)
- 조명우 2022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 월드컵 (준우승 : 다니엘 산체스)
- 허정환 2024 튀르키예 앙카라 월드컵 (준우승 : 바오프엉빈)
Tags:
Billiard